존중 3

첫걸음은 자신에 대한 존경심에서

자신을 대단치 않은 인간이라 폄하해서는 안 된다.그 같은 생각은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옭아매려 들기 때문이다.오히려 맨 먼저 자신을 존경하는 것부터 시작하라.자신을 존경하면 악한 일은 결코 행하지 않고, 인간으로서 손가락질 당할 행동 따윈 하지 않게 된다. 번역이 잘못되었지 싶다.중요한 것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시인하는 용기가 중요하다.열등한 자는 그  컴플렉스로 인하여 자신을 포장하려 든다.대개의 인간행동은 컴플렉스의 차원에서 보면 이해할 수 있다.존경이라는 단어를 존중이라는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옳다.자신만을 존경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존중은 상대방 존중 없이는 불가능하다.존경은 상대적인 것이나 존중은 절대적인 것으로서자신의 존중과 상대방의 존중은 함께 걸어간다.자신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을..

카테고리 없음 2024.09.13

영국신사

영국인들이 신사이고 숙녀라면, 그것은 상대방존중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국이 일찌기 민주주의가 발달한 것도 바로 상대방존중정신의 발로이다. 사람들은 영국이 아직도 왕가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전통과 관습의 존중이라고 보지만, 나는 상대방존중정신이 그 진정한 원인인 것으로 본다. 상대방 존중에는 왕가라 할지라도 예외가 아닌 것이다. 노예근성의 민족들에게는 상대방 존중정신이 박약하다. 비록 상대방 앞에서는 굴종과 비굴과 아부는 있어도 돌아서면 비난과 비웃슴을 쏟아내기 십상이다, 그가 비록 군대의 사령관이라 할지라도. 한국에는 존경받는 정치가, 존경받는 재력가가 없는 것이 여기에 연유한다. 상대방 존중정신의 결여가 장래의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의 존립을 위협한다.

잡글 2022.12.12